반응형
💻 표준원가계산이란? (실제원가와 비교 / 한계 )
표준원가계산(Standard Costing)은 말 그대로
“정해진 기준 원가(표준원가)”를 미리 설정해서,
실제 발생한 원가와 비교하고, 차이를 분석해서 통제하는 원가계산 방식이야.
회사 입장에선
“제품 하나 만드는데 원래 이 정도 비용이 들어야 정상인데,
이번 달엔 왜 이렇게 더 들었지?”
하고 **차이의 원인(차이분석)**을 찾아서 개선하려는 거야.
🎯 예를 들어
- 표준: 제품 1개 만들 때
→ 재료 2kg × 500원/kg = 1,000원
→ 인건비 1시간 × 8,000원 = 8,000원
→ 총 9,000원이 기준
- 실제: 제품 1개 만드는 데
→ 재료 2.2kg × 550원/kg = 1,210원
→ 인건비 1.2시간 × 9,000원 = 10,800원
→ ❗ 그럼 원래 9,000원 들여야 할 제품에
→ 실제로는 12,010원 들었으니까 “차이(variance)”가 발생한 거야!
💡 여기서 말하는 **“표준”**은 두 가지로 구성돼:
- 수량표준: 얼마만큼 자원을 써야 하는가 (ex. 재료 몇 kg, 인건비 몇 시간)
- 가격표준: 얼마짜리 자원을 써야 하는가 (ex. 단가, 시급 등)
👉 이 둘을 곱해서 “표준원가”를 만든다.
🔧 이 제도의 목적은?
✅ 원가 차이를 통해 경영 통제와 개선을 하려는 것
- 그래서 시험에서는 “표준원가제도는 원가 통제에 적합하다”는 말이 항상 정답으로 나와
- 실제로는 예외 상황(차이 발생)을 빨리 감지해서 대처하는 데 유용한 시스템이야
🤔 그런데 이 제도의 한계도 있어
- 숫자(계량적 정보) 중심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 “고객 불만”이나 “현장 사기 저하” 같은 비계량적인 요소는 반영이 안 돼
- 예를 들어,
“표준에 맞춰야 하니까 무리하게 일하자” → 직원 피로
“싸게 사야 하니까 품질 낮은 재료 구매” → 제품 불량률 ↑
이런 “숫자로는 안 보이는 리스크”를 무시할 가능성도 있어.
💡 또 하나 자주 나오는 질문!
❓ "표준원가제도는 전부원가계산에도 쓰고, 변동원가계산에도 쓸 수 있어?"
✅ 응, 맞아! 둘 다 가능해.
- 전부원가계산은 → 고정간접비도 포함해서 원가 계산
- 변동원가계산은 → 고정간접비는 제외하고, 변동비만 제품원가로 계산
→ 둘 중 어떤 방식이든 표준원가를 기준으로 차이분석이 가능해.
✨ 정리하자면,
- 표준원가계산은 예상 기준 원가를 먼저 세워놓고, 실제와 비교해 차이를 분석하는 방식이야.
- 이 표준은 수량 × 가격으로 구성돼.
- 실제와 차이가 나면 원인을 분석해서 원가를 통제하거나 개선하려는 데 목적이 있어.
- 전부/변동원가계산 모두에 적용 가능하고,
- 비계량적인 요소는 간과될 수 있는 단점도 있어.
반응형
'재경관리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초변동원가계산의 특성과 경영자가 어떤 행동을 하게 되는지(= 유인) (1) | 2025.05.09 |
---|---|
🔎 정상원가계산이란? (실제원가와 차이 / 과대·과소배부 / 비배분법 / 비례배분법) (1) | 2025.05.09 |
✅ 최저필수수익률 (discount rate, hurdle rate) 이란? (1) | 2025.05.08 |
📑 제조간접원가 배부차이의 조정 방법 총정리 (1) | 2025.05.08 |
🔗 [부가가치세법] 과세 vs 면세 거래 / 면세사업자 지위 / 의제매입세액 공제 요건 (2) | 2025.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