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제조간접원가 배부차이 조정 방법 총정리
제조간접원가 배부차이의 조정 방법을
👉 핵심 개념 정리 + 쉬운 설명 + 시험 포인트 위주로 깔끔하게 정리해줄게.
✅ 제조간접원가 배부차이 조정 방법 총정리
1️⃣ 비배분법 (간단하지만 시험에 자주 나옴 ★★★)
배부차이를 딱 한 군데에 몰아주는 방식
👉 매출원가 또는 기타손익으로만 조정함
(1) 매출원가조정법 ★★★
제조간접원가 배부차이를 매출원가에만 반영하는 방식
- 과소배부(덜 배분했음) → 매출원가에 + 가산
- 과대배부(너무 많이 배분했음) → 매출원가에 – 차감
📌 시험 포인트:
- 재공품, 제품계정은 건드리지 않음!
- 따라서 재공품과 제품은 정상원가로 유지됨
- 조정은 매출원가에만 반영됨
🧾 예시:
- 실제 제조간접비: 1,200만 원
- 배부한 금액: 1,000만 원 (과소배부 200만 원)
→ 매출원가에 200만 원을 더해서 수정
(2) 기타손익법 ★★☆
제조간접원가 배부차이를 손익계산서의 기타수익/기타비용으로 처리하는 방식
- 과소배부 → 기타비용
- 과대배부 → 기타수익
📌 특징:
- 매출원가에도, 제품계정에도 영향 안 줌
- 회계처리를 가장 간단하게 하고 싶을 때 사용
- 실제원가와는 거리가 멀어 정확도는 떨어짐
🧾 예시:
- 과소배부 200만 원 → 손익계산서의 기타비용 200만 원
2️⃣ 비례배분법 (실제원가에 더 가까움, 시험에선 개념 위주)
배부차이를 매출원가 + 제품 + 재공품에 비율로 나눠서 반영하는 방식
(1) 총원가 비례배분법
- 기준: 각 계정의 총원가(기말재고 포함) 기준으로 나눔
- 계산 편하고 시험에선 이름만 알아두면 충분
(2) 원가요소별 비례배분법
- 기준: 각 계정의 제조간접비 예정배부액
- 훨씬 정확하고 복잡함
→ 시험에선 정의 수준으로만 나오고 계산은 거의 안 나옴
🧠 최종 정리 요약표
구분 | 조정 대상 | 과소배부 시 | 과대배부 시 | 특징 |
매출원가조정법 | 매출원가만 | 매출원가 증가 | 매출원가 감소 | 재공품·제품은 정상원가로 유지 |
기타손익법 | 기타비용/수익 | 기타비용 | 기타수익 | 회계처리 간단함 |
총원가 비례법 | 매출원가 + 제품 + 재공품 | 비율로 나눔 | 비율로 나눔 | 실제원가와 가장 가까움 |
원가요소별 비례법 | 예정배부액 기준 비율 배분 | 비율로 나눔 | 비율로 나눔 | 가장 정확하나 복잡 |
📌 정리 포인트 요약
- 실무에서 정확한 건 → 비례배분법
- 시험에서 자주 나오는 건 → 매출원가조정법 + 기타손익법
- 재공품·제품 건드리냐 여부는 잘 구분해서 기억하기!
반응형
'재경관리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정상원가계산이란? (실제원가와 차이 / 과대·과소배부 / 비배분법 / 비례배분법) (1) | 2025.05.09 |
---|---|
✅ 최저필수수익률 (discount rate, hurdle rate) 이란? (1) | 2025.05.08 |
🔗 [부가가치세법] 과세 vs 면세 거래 / 면세사업자 지위 / 의제매입세액 공제 요건 (2) | 2025.05.07 |
❓[부가가치세법] "공급가액에 포함하지 않는 금액"과 "과세표준에서 공제하지 않는 금액" 구분 (1) | 2025.05.07 |
📚 연말정산 vs 종합소득세 신고 구분하고 이해하기 (3) | 2025.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