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경관리사

📑 제조간접원가 배부차이의 조정 방법 총정리

by 도 마 도 2025. 5. 8.
반응형

📑 제조간접원가 배부차이 조정 방법 총정리

 

제조간접원가 배부차이의 조정 방법
👉 핵심 개념 정리 + 쉬운 설명 + 시험 포인트 위주로 깔끔하게 정리해줄게.

 


 

✅ 제조간접원가 배부차이 조정 방법 총정리

 

1️⃣ 비배분법 (간단하지만 시험에 자주 나옴 ★★★)

배부차이를 딱 한 군데에 몰아주는 방식
👉 매출원가 또는 기타손익으로만 조정함

 


 

(1) 매출원가조정법 ★★★

제조간접원가 배부차이를 매출원가에만 반영하는 방식

 

  • 과소배부(덜 배분했음) → 매출원가에 + 가산
  • 과대배부(너무 많이 배분했음) → 매출원가에 – 차감

 

📌 시험 포인트:

  • 재공품, 제품계정은 건드리지 않음!
  • 따라서 재공품과 제품은 정상원가로 유지됨
  • 조정은 매출원가에만 반영

 

🧾 예시:

  • 실제 제조간접비: 1,200만 원
  • 배부한 금액: 1,000만 원 (과소배부 200만 원)
    → 매출원가에 200만 원을 더해서 수정

 


 

(2) 기타손익법 ★★☆

제조간접원가 배부차이를 손익계산서의 기타수익/기타비용으로 처리하는 방식

 

  • 과소배부기타비용
  • 과대배부기타수익

 

📌 특징:

  • 매출원가에도, 제품계정에도 영향 안 줌
  • 회계처리를 가장 간단하게 하고 싶을 때 사용
  • 실제원가와는 거리가 멀어 정확도는 떨어짐

 

🧾 예시:

  • 과소배부 200만 원 → 손익계산서의 기타비용 200만 원

 


 

2️⃣ 비례배분법 (실제원가에 더 가까움, 시험에선 개념 위주)

배부차이를 매출원가 + 제품 + 재공품비율로 나눠서 반영하는 방식

 


 

(1) 총원가 비례배분법

  • 기준: 각 계정의 총원가(기말재고 포함) 기준으로 나눔
  • 계산 편하고 시험에선 이름만 알아두면 충분

 


 

(2) 원가요소별 비례배분법

  • 기준: 각 계정의 제조간접비 예정배부액
  • 훨씬 정확하고 복잡함
    → 시험에선 정의 수준으로만 나오고 계산은 거의 안 나옴

 


 

🧠 최종 정리 요약표

구분 조정 대상 과소배부 시 과대배부 시 특징
매출원가조정법 매출원가만 매출원가 증가 매출원가 감소 재공품·제품은 정상원가로 유지
기타손익법 기타비용/수익 기타비용 기타수익 회계처리 간단함
총원가 비례법 매출원가 + 제품 + 재공품 비율로 나눔 비율로 나눔 실제원가와 가장 가까움
원가요소별 비례법 예정배부액 기준 비율 배분 비율로 나눔 비율로 나눔 가장 정확하나 복잡
 

 

📌 정리 포인트 요약

  • 실무에서 정확한 건 → 비례배분법
  • 시험에서 자주 나오는 건 → 매출원가조정법 + 기타손익법
  • 재공품·제품 건드리냐 여부는 잘 구분해서 기억하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