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정상원가계산이란? (실제원가와 차이 / 과대·과소배부 / 비배분법 / 비례배분법)
*제가 보려고 정리한 것이기 때문에 틀린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정상원가계산, 실제원가와의 차이,
그리고 **제조간접비 배부차이(과대·과소배부)**와
그 차이를 조정하는 방법인 비배분법 / 비례배분법
이 파트는 용어가 비슷하고 헷갈리기 쉬운 핵심 파트
✅ 1. 정상원가계산이란?
직접재료비 + 직접노무비는 실제원가,
제조간접비는 ‘예정배부율’로 미리 배부하는 방식
📌 쉽게 말하면:
- 실제로 쓴 자재값(재료), 인건비(노무비)는 그대로 쓰고
- 간접비는 계산 편하게, 일정한 비율로 미리 배분하는 방식
✅ 2. 실제원가계산 vs 정상원가계산 비교
구분 | 실제원가계산 | 정상원가계산 |
직접재료비 | 실제 금액 | 실제 금액 |
직접노무비 | 실제 금액 | 실제 금액 |
제조간접비 | 실제 발생액 | 예정배부액 (예정 배부율 × 실제기준) |
장점 | 실제비용 정확히 반영 | 비용 예측/관리 편리 |
단점 | 매번 계산 복잡 | 배부차이 발생 가능 |
✅ 3. 제조간접원가의 예정배부 vs 실제발생
📌 예정배부액 (Applied FOH)
= 예정배부율 × 실제 조업도(예: 기계시간, 노동시간)
📌 실제발생액 (Actual FOH)
= 해당 기간에 실제로 발생한 제조간접비
✅ 4. 과대배부 / 과소배부 구별
상황 | 설명 | 결과 |
예정배부액 > 실제발생액 | 간접비를 너무 많이 배분함 | ✅ 과대배부 |
예정배부액 < 실제발생액 | 간접비를 너무 적게 배분함 | ✅ 과소배부 |
✅ 5. 그럼 이 차이(배부차이)는 어떻게 처리할까?
바로 여기서 나오는 게 비배분법 / 비례배분법이야!
✅ 6. 제조간접비 배부차이 조정 방법
📌 비배분법 (비율로 나누지 않고 한 군데에 몰아서 처리)
방법 | 설명 | 특징 |
매출원가조정법 | 배부차이를 모두 매출원가에 가감 | 재공품·제품은 그대로 (정상원가 유지) |
기타손익법 | 배부차이를 기타수익/비용으로 처리 | 손익계산서에 직접 영향 |
📌 비례배분법 (비율에 따라 나눠서 조정)
방법 | 설명 | 기준 |
총원가 비례법 | 배부차이를 총원가 비율로 매출원가·재공품·제품에 나눔 | 각 계정 총원가 기준 |
원가요소별 비례법 | 예정배부액 비율로 배분 | 간접비 항목별 비율 |
📌 정확성은 높지만 계산 복잡
🧠 요약 이미지처럼 정리
항목 | 실제 원가계산 | 정상원가계산 |
간접비 기준 | 실제발생액 | 예정배부액 |
배부차이 발생 | ❌ 없음 | ✅ 생김 (예정 vs 실제 차이) |
차이 조정법 | 해당 없음 | 비배분법 / 비례배분법으로 조정 |
반응형
'재경관리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초변동원가계산의 특성과 경영자가 어떤 행동을 하게 되는지(= 유인) (1) | 2025.05.09 |
---|---|
💻 표준원가계산 총정리 (실제원가와 비교 / 한계 ) (2) | 2025.05.09 |
✅ 최저필수수익률 (discount rate, hurdle rate) 이란? (1) | 2025.05.08 |
📑 제조간접원가 배부차이의 조정 방법 총정리 (1) | 2025.05.08 |
🔗 [부가가치세법] 과세 vs 면세 거래 / 면세사업자 지위 / 의제매입세액 공제 요건 (2) | 2025.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