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최저필수수익률 (discount rate, hurdle rate) 이란?
최저필수수익률(discount rate 또는 hurdle rate)은
자본예산, NPV, IRR 등 투자 평가에서 반드시 이해하고 있어야 하는 핵심 개념이야.
✅ 최저필수수익률 (discount rate, hurdle rate) 이란?
“이 투자에서 최소한 이 정도는 벌어야 한다”는 기준 수익률
즉,
회사 입장에서
“이율이 이 기준보다 높으면 투자 OK,
이 기준보다 낮으면 투자 NO!”
이런 최소 수익률의 기준선을 말해.
💡 용어별 의미
용어 | 뜻 |
discount rate | 미래 현금흐름을 현재가치로 환산할 때 쓰는 이율 |
hurdle rate | 투자를 통과시키기 위한 최소 수익률 (문턱 이율) |
최저필수수익률 | 둘을 한국어로 표현한 말 (시험에서 이 표현 자주 나옴) |
➡️ 세 가지는 같은 의미, 문맥에 따라 이름만 바뀜!
🧮 어디에 쓰일까?
1️⃣ IRR과 비교할 때
- IRR > 최저필수수익률 → 투자함
- IRR < 최저필수수익률 → 투자 안 함
💡 왜 중요한가?
회사는 자금을 조달할 때도 비용이 들어 (예: 이자, 자본기회비용 등)
→ 투자에서 최소한 그 비용 이상은 벌어야 가치 있는 투자야
예를 들어:
- 자기자본 기대수익률: 8%
- 타인자본(대출) 이자율: 5%
→ 가중평균자본비용(WACC): 약 6.5%라면
→ 이게 바로 최소 벌어야 할 수익률 = 최저필수수익률
✨ 한 줄 요약
최저필수수익률은 투자에서 요구되는 최소 기준 수익률이며,
이 기준보다 수익률이 높으면 투자 가치가 있고, 낮으면 손해다!
반응형
'재경관리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표준원가계산 총정리 (실제원가와 비교 / 한계 ) (2) | 2025.05.09 |
---|---|
🔎 정상원가계산이란? (실제원가와 차이 / 과대·과소배부 / 비배분법 / 비례배분법) (1) | 2025.05.09 |
📑 제조간접원가 배부차이의 조정 방법 총정리 (1) | 2025.05.08 |
🔗 [부가가치세법] 과세 vs 면세 거래 / 면세사업자 지위 / 의제매입세액 공제 요건 (2) | 2025.05.07 |
❓[부가가치세법] "공급가액에 포함하지 않는 금액"과 "과세표준에서 공제하지 않는 금액" 구분 (1) | 2025.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