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경관리사

✅ 최저필수수익률 (discount rate, hurdle rate) 이란?

by 도 마 도 2025. 5. 8.
반응형

✅ 최저필수수익률 (discount rate, hurdle rate) 이란?

 

최저필수수익률(discount rate 또는 hurdle rate)은
자본예산, NPV, IRR 등 투자 평가에서 반드시 이해하고 있어야 하는 핵심 개념이야.

 


 

✅ 최저필수수익률 (discount rate, hurdle rate) 이란?

“이 투자에서 최소한 이 정도는 벌어야 한다”는 기준 수익률

 

즉,
회사 입장에서

“이율이 이 기준보다 높으면 투자 OK,
이 기준보다 낮으면 투자 NO!”
이런 최소 수익률의 기준선을 말해.

 


 

💡 용어별 의미

용어
discount rate 미래 현금흐름을 현재가치로 환산할 때 쓰는 이율
hurdle rate 투자를 통과시키기 위한 최소 수익률 (문턱 이율)
최저필수수익률 둘을 한국어로 표현한 말 (시험에서 이 표현 자주 나옴)
 

➡️ 세 가지는 같은 의미, 문맥에 따라 이름만 바뀜!

 


 

🧮 어디에 쓰일까?

 

1️⃣ IRR과 비교할 때

  • IRR > 최저필수수익률 → 투자함
  • IRR < 최저필수수익률 → 투자 안 함

 


 

💡 왜 중요한가?

회사는 자금을 조달할 때도 비용이 들어 (예: 이자, 자본기회비용 등)
→ 투자에서 최소한 그 비용 이상은 벌어야 가치 있는 투자야

 

예를 들어:

  • 자기자본 기대수익률: 8%
  • 타인자본(대출) 이자율: 5%
    → 가중평균자본비용(WACC): 약 6.5%라면
    이게 바로 최소 벌어야 할 수익률 = 최저필수수익률

 


 

✨ 한 줄 요약

최저필수수익률은 투자에서 요구되는 최소 기준 수익률이며,
이 기준보다 수익률이 높으면 투자 가치가 있고, 낮으면 손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