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대손충당금 세무조정 – 핵심 비교 방식 (기말잔액)
대손충당금 세무조정에서 기말금액 vs. 한도액을 비교하는 건 딱 한 가지 경우이고,
다른 항목들은 일반적으로 “당기 설정액”과 한도액을 비교해.
이걸 표와 함께 정리해서 설명해볼게!
✅ 대손충당금 세무조정 – 핵심 비교 방식
구분 | 비교 대상 | 설명 |
대손충당금 | 기말잔액 vs. 세법상 한도액 | 대손충당금은 기말에 남아있는 금액이 한도 초과했는지를 따짐 |
기부금, 접대비 등 기타 손금 항목 | 당기 지출액(또는 설정액) vs. 손금한도액 | 실제 올해 사용하거나 설정한 금액을 기준으로 한도 초과 판단 |
🔍 왜 대손충당금은 기말잔액을 기준으로 비교할까?
대손충당금은 **올해 회계처리로 설정한 금액(=당기 설정액)**이 아니라
회계연도 말 기준으로 **“총 얼마가 대손충당금으로 잡혀 있냐”**가 중요해.
왜냐하면 이건 미래의 손실 가능성을 반영하는 **충당계정(예비계정)**이기 때문이야.
즉,
- 당기 설정액이 아무리 크더라도
- 기말에 남아 있는 총 대손충당금이 한도를 초과하지 않으면
- 세무조정 안 해도 돼.
예를 들어:
- 기초 잔액 5,000만 원
- 당기 설정액 2,000만 원
- 당기 대손처리액 3,000만 원
- 기말 잔액 = 5,000 + 2,000 – 3,000 = 4,000만 원
→ 이 기말 잔액 4,000만 원이 한도인 3,500만 원을 초과하면
→ 초과액 500만 원은 손금불산입(△유보) 처리해야 해.
📌 정리
- ✅ 대손충당금만 “기말 잔액 vs. 한도액” 비교
- ❌ 기부금, 접대비 등은 “당기 지출액 vs. 한도액” 비교
반응형
'재경관리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예납적 원천징수 vs 완납적 원천징수 개념 및 예시 (1) | 2025.05.03 |
---|---|
🔗 세액공제 vs 소득공제 차이 정리 (1) | 2025.05.03 |
🔎 차입금적수란? (개념 및 예시 / 업무무관자산) (1) | 2025.05.01 |
🍀 법인세법에서 왜 감가상각비 회사계상액에 당기자본적지출액을 더할까? (1) | 2025.04.28 |
🔎 즉시상각의제 사례 및 회계처리 (예시 / 세무조정 / 특례) (1) | 2025.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