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경관리사

💸 대손충당금 세무조정 – 핵심 비교 방식 (기말잔액)

by 도 마 도 2025. 5. 1.
반응형

💸 대손충당금 세무조정 – 핵심 비교 방식 (기말잔액)

 

대손충당금 세무조정에서 기말금액 vs. 한도액을 비교하는 건 딱 한 가지 경우이고,

다른 항목들은 일반적으로 “당기 설정액”과 한도액을 비교해.

 

이걸 표와 함께 정리해서 설명해볼게!

 


 

✅ 대손충당금 세무조정 – 핵심 비교 방식

구분 비교 대상 설명
대손충당금 기말잔액 vs. 세법상 한도액 대손충당금은 기말에 남아있는 금액이 한도 초과했는지를 따짐
기부금, 접대비 등 기타 손금 항목 당기 지출액(또는 설정액) vs. 손금한도액 실제 올해 사용하거나 설정한 금액을 기준으로 한도 초과 판단
 

 


 

🔍 왜 대손충당금은 기말잔액을 기준으로 비교할까?

 

대손충당금은 **올해 회계처리로 설정한 금액(=당기 설정액)**이 아니라
회계연도 말 기준으로 **“총 얼마가 대손충당금으로 잡혀 있냐”**가 중요해.
왜냐하면 이건 미래의 손실 가능성을 반영하는 **충당계정(예비계정)**이기 때문이야.

 

 

즉,

  • 당기 설정액이 아무리 크더라도
  • 기말에 남아 있는 총 대손충당금이 한도를 초과하지 않으면
  • 세무조정 안 해도 돼.

 

예를 들어:

  • 기초 잔액 5,000만 원
  • 당기 설정액 2,000만 원
  • 당기 대손처리액 3,000만 원
  • 기말 잔액 = 5,000 + 2,000 – 3,000 = 4,000만 원

→ 이 기말 잔액 4,000만 원이 한도인 3,500만 원을 초과하면
→ 초과액 500만 원은 손금불산입(△유보) 처리해야 해.

 


 

📌 정리

  • 대손충당금만기말 잔액 vs. 한도액” 비교
  • ❌ 기부금, 접대비 등은 “당기 지출액 vs. 한도액” 비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