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전환사채에서 상환할증금이란?
전환사채는 전환할 수도 있고, 상환할 수도 있는 사채야.
그런데 만약 전환하지 않고 만기까지 보유한다면,
발행할 때 약속한 금액보다 더 많은 돈을 돌려받을 수 있어.
이때 추가로 지급되는 금액이 바로 상환할증금이야.
⸻
👉🏻 예시로 볼게!
• 전환사채 액면: 1,000,000원
• 만기 상환금액: 1,100,000원
→ 이 경우 상환할증금100,000원
⸻
❓ 왜 상환할증금을 줘?
전환사채는 이자율이 낮거나
전환 조건이 투자자에게 유리하지 않을 수도 있어.
그래서 투자자에게 보장된 수익률을 제공하려고
만기 상환 시 더 주는 거야.
⸻
✅ 회계처리에서는?
발행 시점에는 상환할증금을 사채발행할인차금으로 보고,
이걸 사채 만기까지 효율이자율법에 따라 점차 상각해.
즉, 이자비용에 포함해서 인식해.
⸻
✅ 상황 예시
예를 들어, (주)예시는 1억 원짜리 전환사채를 발행하면서
5년 뒤에 1억 1천만 원을 갚기로 했어.
→ 이 경우, 1천만 원이 상환할증금이야!
⸻
👉 왜 이런 걸 하냐면…
투자자 입장에선 “주식으로 전환할 수도 있지만, 전환 안 하고 그냥 현금으로 받을 수도 있어.”
→ 이때 “전환 안 하고 기다리면 이익을 주겠다”는 의미로 상환할증금을 주는 거야.
→ 그래서 상환할증금은 투자자 유인을 높이기 위한 조건이고,
회계적으로는 부채에 포함돼서 이자비용으로 인식돼!
⸻
✅ 요약 정리
⸻
🎯 핵심 포인트 정리
• 전환사채에서 주식으로 전환 안 하고 현금으로 상환할 때,
• 더 많이 갚아야 하는 금액 → 그게 상환할증금!
• 이건 결국 이자비용이니까 부채로 보고 비용 처리!
반응형
'재경관리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이익잉여금이란? (법정적립금, 임의적립금, 미처분이익잉여금 / 주식배당, 무상증자) (1) | 2025.04.22 |
---|---|
🔄 전환사채(CB, Convertible Bond)란? (1) | 2025.04.22 |
💲환매채란? (Repurchase Agreement, RP 또는 환매조건부채권) (1) | 2025.04.21 |
💰 현금흐름표 영업활동 현금흐름 작성 방법 두 가지 (직접법 / 간접법) (2) | 2025.04.21 |
💰 리스 개념 설명 (리스총투자 / 리스순투자 / 내재이자율 / 증분차입이자율) (1) | 2025.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