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경관리사

💸 전환사채에서 상환할증금이란?

by 도 마 도 2025. 4. 22.
반응형

💸 전환사채에서 상환할증금이란?


전환사채는 전환할 수도 있고, 상환할 수도 있는 사채야.

그런데 만약 전환하지 않고 만기까지 보유한다면,
발행할 때 약속한 금액보다 더 많은 돈을 돌려받을 수 있어.

이때 추가로 지급되는 금액이 바로 상환할증금이야.



👉🏻 예시로 볼게!
• 전환사채 액면: 1,000,000원
• 만기 상환금액: 1,100,000원
→ 이 경우 상환할증금100,000원



❓ 왜 상환할증금을 줘?


전환사채는 이자율이 낮거나
전환 조건이 투자자에게 유리하지 않을 수도 있어.

그래서 투자자에게 보장된 수익률을 제공하려고
만기 상환 시 더 주는 거야.



✅ 회계처리에서는?

발행 시점에는 상환할증금을 사채발행할인차금으로 보고,
이걸 사채 만기까지 효율이자율법에 따라 점차 상각해.
즉, 이자비용에 포함해서 인식해.



✅ 상황 예시

예를 들어, (주)예시는 1억 원짜리 전환사채를 발행하면서
5년 뒤에 1억 1천만 원을 갚기로 했어.

→ 이 경우, 1천만 원이 상환할증금이야!



👉 왜 이런 걸 하냐면…

투자자 입장에선 “주식으로 전환할 수도 있지만, 전환 안 하고 그냥 현금으로 받을 수도 있어.”

→ 이때 “전환 안 하고 기다리면 이익을 주겠다”는 의미로 상환할증금을 주는 거야.

→ 그래서 상환할증금은 투자자 유인을 높이기 위한 조건이고,
회계적으로는 부채에 포함돼서 이자비용으로 인식돼!



✅ 요약 정리




🎯 핵심 포인트 정리
• 전환사채에서 주식으로 전환 안 하고 현금으로 상환할 때,
• 더 많이 갚아야 하는 금액 → 그게 상환할증금!
• 이건 결국 이자비용이니까 부채로 보고 비용 처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