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전환사채(CB, Convertible Bond)란?
전환사채는 채권(부채) + 전환권(자본)으로 구성된 복합금융상품이야.
쉽게 말해,
“돈 빌려줄게. 근데 나중에 이걸 주식으로 바꿔줘도 돼”
이런 옵션이 붙은 채권이야.
이 때문에 일반사채보다 이자율이 낮게 책정돼도 사람들이 사는 거지.
전환권은 투자자에게 매력적인 권리거든!
📊 회계처리 구조 이해
전환사채를 발행할 때 회계처리는 다음처럼 나뉘어:
차) 현금 xxx ← 받은 돈
전환권조정 xxx ← 전환권의 가치(차감계정)
대) 전환사채 xxx ← 액면금액 (부채)
사채상환할증금 xxx ← 만기 시 더 줘야 하는 돈 (부채)
전환권대가 xxx ← 전환권의 공정가치 (자본)
🧩 구성요소 설명
계정 | 설명 | 분류 |
전환사채 | 채권(돈 빌린 것) | 부채 |
사채상환할증금 | 만기 시 액면보다 더 갚기로 한 금액 | 부채 |
전환권대가 | 전환권의 공정가치, 주식 전환 가능성이 담긴 권리 | 자본 |
전환권조정 | 전환권 관련 차감계정 = 전환권대가 + 사채상환할증금 | 전환사채의 차감 (즉, 부채를 줄이는 조정계정) |
🔁 왜 전환사채 이자율은 낮은가?
전환권이라는 좋은 옵션이 붙어 있으니까,
발행회사는 이자를 좀 덜 줘도 사람들이 투자해.
예시:
- 일반사채: 이자율 5%
- 전환사채: 이자율 3% ← 이자 덜 줘도 전환권이라는 보너스가 있거든!
🧠 핵심 요약
- 전환사채는 부채(채권) + 자본(전환권) = 복합금융상품
- 전환사채와 사채상환할증금은 부채
- 전환권대가는 자본
- 전환권조정은 부채의 차감계정으로 기능
- 전환권 때문에 이자율이 낮게 설정돼도 매력적인 상품
반응형
'재경관리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금배당이란? (현금배당 회계처리 / 예시 / 분개) (1) | 2025.04.22 |
---|---|
🪙 이익잉여금이란? (법정적립금, 임의적립금, 미처분이익잉여금 / 주식배당, 무상증자) (1) | 2025.04.22 |
💸 전환사채에서 상환할증금이란? (1) | 2025.04.22 |
💲환매채란? (Repurchase Agreement, RP 또는 환매조건부채권) (1) | 2025.04.21 |
💰 현금흐름표 영업활동 현금흐름 작성 방법 두 가지 (직접법 / 간접법) (2) | 2025.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