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리스 개념 설명 (리스총투자 / 리스순투자 / 내재이자율 / 증분차입이자율)
리스의 핵심 개념인
리스 총투자, 순투자, 내재이자율, 증분차입이자율 개념을
완전 제대로 정리해줄게 😊
🎯 리스 총투자(Gross Investment in the Lease)
📌 정의:
리스제공자(=리스회사)가 리스를 통해 총 받을 금액
= 리스료 + 무보증잔존가치
🔍 예를 들어서:
- 매년 리스료 1,000만 원 × 3년 = 3,000만 원
- 무보증잔존가치 500만 원이 있다면,
→ 총투자 = 3,000 + 500 = 3,500만 원
✔️ 무보증잔존가치는 "사용자가 보장하지 않는 잔존가치"인데, 이 금액도 리스제공자가 회수 기대할 수 있는 수익이니까 총투자에 포함!
💰 리스 순투자(Net Investment in the Lease)
📌 정의:
리스 총투자를 현재가치(PV)로 할인한 금액
→ = 리스료 + 무보증잔존가치의 현재가치
즉, 리스제공자 입장에서 오늘 기준으로 받을 돈의 가치
✔️ 여기서 쓰이는 할인율이 바로 👉 내재이자율
🔐 내재이자율(Implicit Rate in the Lease)
📌 정의:
리스료와 무보증잔존가치의 현재가치 합계가
➡️ 기초자산의 공정가치 + 리스개설직접원가와 같아지게 하는 할인율
💡 쉽게 말하면?
- 이 리스계약 안에 숨어 있는 실제 수익률
- 리스제공자 입장에서 "이 리스를 하면 연 몇 % 이익을 보는 거냐?"를 보여주는 지표야
✔️ **회계 기준서(K-IFRS)**에선 내재이자율이 알 수 있으면 반드시 사용해야 해!
🏦 증분차입이자율(Incremental Borrowing Rate)
📌 정의:
리스이용자가 비슷한 조건에서 직접 자금을 차입했다면 적용받았을 이자율
🔍 예를 들면?
- 네가 기계 하나 리스하려고 하는데,
- 이걸 은행에서 빌려서 샀다면?
- 그때 적용되는 대출이자율이 증분차입이자율!
✔️ 내재이자율을 알 수 없는 경우 → 이걸 써서 리스부채를 계산해!
📊 전체 개념 비교 요약
구분 | 누구 입장? | 의미 | 포함되는 것 |
리스총투자 | 리스제공자 | 총 받을 금액 | 리스료 + 무보증잔존가치 |
리스순투자 | 리스제공자 | 총투자의 현재가치 | 할인된 리스료 + 무보증잔존가치 |
내재이자율 | 리스제공자 기준 할인율 | 리스 순투자 계산에 사용되는 이자율 | 계약 내부에 있는 실제 수익률 |
증분차입이자율 | 리스이용자 | 직접 자금 조달 시 적용 이자율 | 내재이자율 모를 때 사용 |
💡 마무리 꿀팁
회계처리에서 리스부채(=할인된 리스료)는
내재이자율로 할인하되, 그걸 모르면 증분차입이자율 사용!
'재경관리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매채란? (Repurchase Agreement, RP 또는 환매조건부채권) (1) | 2025.04.21 |
---|---|
💰 현금흐름표 영업활동 현금흐름 작성 방법 두 가지 (직접법 / 간접법) (2) | 2025.04.21 |
🚗 리스약정일과 리스개시일의 차이 (2) | 2025.04.21 |
📒 매도 vs 매입 통화선도계약 구분 방법 (2) | 2025.04.21 |
🔗 파생상품 - 공정가치 위험회피와 현금흐름 위험회피의 구분 방법 (1) | 2025.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