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경관리사

💰 리스 개념 설명 (리스총투자 / 리스순투자 / 내재이자율 / 증분차입이자율)

by 도 마 도 2025. 4. 21.
반응형

💰 리스 개념 설명 (리스총투자 / 리스순투자 / 내재이자율 / 증분차입이자율)

 

리스의 핵심 개념인

리스 총투자, 순투자, 내재이자율, 증분차입이자율 개념을

완전 제대로 정리해줄게 😊

 


 

🎯 리스 총투자(Gross Investment in the Lease)

 

📌 정의:

리스제공자(=리스회사)가 리스를 통해 총 받을 금액
= 리스료 + 무보증잔존가치

 

🔍 예를 들어서:

  • 매년 리스료 1,000만 원 × 3년 = 3,000만 원
  • 무보증잔존가치 500만 원이 있다면,
    총투자 = 3,000 + 500 = 3,500만 원

✔️ 무보증잔존가치는 "사용자가 보장하지 않는 잔존가치"인데, 이 금액도 리스제공자가 회수 기대할 수 있는 수익이니까 총투자에 포함!

 


 

💰 리스 순투자(Net Investment in the Lease)

 

📌 정의:

리스 총투자를 현재가치(PV)로 할인한 금액
→ = 리스료 + 무보증잔존가치의 현재가치

 

즉, 리스제공자 입장에서 오늘 기준으로 받을 돈의 가치

 

✔️ 여기서 쓰이는 할인율이 바로 👉 내재이자율

 


 

🔐 내재이자율(Implicit Rate in the Lease)

 

📌 정의:

리스료와 무보증잔존가치의 현재가치 합계
➡️ 기초자산의 공정가치 + 리스개설직접원가와 같아지게 하는 할인율

 

💡 쉽게 말하면?

  • 이 리스계약 안에 숨어 있는 실제 수익률
  • 리스제공자 입장에서 "이 리스를 하면 연 몇 % 이익을 보는 거냐?"를 보여주는 지표야

✔️ **회계 기준서(K-IFRS)**에선 내재이자율이 알 수 있으면 반드시 사용해야 해!

 


 

🏦 증분차입이자율(Incremental Borrowing Rate)

 

📌 정의:

리스이용자가 비슷한 조건에서 직접 자금을 차입했다면 적용받았을 이자율

 

🔍 예를 들면?

  • 네가 기계 하나 리스하려고 하는데,
  • 이걸 은행에서 빌려서 샀다면?
  • 그때 적용되는 대출이자율이 증분차입이자율!

✔️ 내재이자율을 알 수 없는 경우 → 이걸 써서 리스부채를 계산해!

 


 

📊 전체 개념 비교 요약

구분 누구 입장? 의미 포함되는 것
리스총투자 리스제공자 총 받을 금액 리스료 + 무보증잔존가치
리스순투자 리스제공자 총투자의 현재가치 할인된 리스료 + 무보증잔존가치
내재이자율 리스제공자 기준 할인율 리스 순투자 계산에 사용되는 이자율 계약 내부에 있는 실제 수익률
증분차입이자율 리스이용자 직접 자금 조달 시 적용 이자율 내재이자율 모를 때 사용

 


 

💡 마무리 꿀팁

회계처리에서 리스부채(=할인된 리스료)는
내재이자율로 할인하되, 그걸 모르면 증분차입이자율 사용!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