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경관리사

💸미처분이익잉여금이란?

by 도 마 도 2025. 6. 20.
반응형

💸 미처분이익잉여금이란?

기업이 벌어들인 이익 중에서 아직 사용(처분) 방법을 정하지 않은 금액

 

📌 말 그대로

  • “미처분” = 아직 어떻게 쓸지 결정 안 한
  • “이익잉여금” = 벌어서 남은 돈(순이익 누적)

즉, “회사가 돈 벌었는데, 이걸 배당으로 줄까, 적립할까, 투자할까 아직 결정 전!”
그럼 미처분이익잉여금으로 남겨 놓는 거야.

 


 

✅ 위치: 어디서 나옴?

재무제표 중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또는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에 나와.
→ 이건 결산기말에 주주총회에서 어떻게 이익을 쓸지를 보여주는 문서야.

 


 

✅ 예를 들어보면

회사가 올해 당기순이익 1억 원을 벌었고,
이전 이익잉여금이 2천만 원 남아 있었다면?

📍결산 전에는 이렇게 표현:

  • 미처분이익잉여금 = 1억 + 2천만 = 1억 2천만 원

→ 그리고 이걸 나중에 이렇게 "처분"함:

  • 법정적립금 1천만 원
  • 배당금 5천만 원
  • 잉여금으로 이월 6천만 원

이렇게 쓰면 → 더 이상 미처분이 아님 = 처분된 이익잉여금

 


 

✅ 쉽게 말하면

결산 직전, 벌어둔 돈 중 아직 쓸 계획이 정해지지 않은 부분

이걸 미처분이익잉여금이라고 부르고,
결산 후엔 →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에서 어디에 얼마 쓸지 결정해서 처리함!

 


 

✅ 반대 개념은?

처분 후 이익잉여금
→ 주주총회 등을 통해 용처가 정해진 이익
→ 법정적립금, 배당, 이월잉여금 등으로 나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