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미처분이익잉여금이란?
기업이 벌어들인 이익 중에서 아직 사용(처분) 방법을 정하지 않은 금액
📌 말 그대로
- “미처분” = 아직 어떻게 쓸지 결정 안 한
- “이익잉여금” = 벌어서 남은 돈(순이익 누적)
즉, “회사가 돈 벌었는데, 이걸 배당으로 줄까, 적립할까, 투자할까 아직 결정 전!”
그럼 미처분이익잉여금으로 남겨 놓는 거야.
✅ 위치: 어디서 나옴?
재무제표 중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또는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에 나와.
→ 이건 결산기말에 주주총회에서 어떻게 이익을 쓸지를 보여주는 문서야.
✅ 예를 들어보면
회사가 올해 당기순이익 1억 원을 벌었고,
이전 이익잉여금이 2천만 원 남아 있었다면?
📍결산 전에는 이렇게 표현:
- 미처분이익잉여금 = 1억 + 2천만 = 1억 2천만 원
→ 그리고 이걸 나중에 이렇게 "처분"함:
- 법정적립금 1천만 원
- 배당금 5천만 원
- 잉여금으로 이월 6천만 원
이렇게 쓰면 → 더 이상 미처분이 아님 = 처분된 이익잉여금
✅ 쉽게 말하면
“결산 직전, 벌어둔 돈 중 아직 쓸 계획이 정해지지 않은 부분”
이걸 미처분이익잉여금이라고 부르고,
결산 후엔 →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에서 어디에 얼마 쓸지 결정해서 처리함!
✅ 반대 개념은?
처분 후 이익잉여금
→ 주주총회 등을 통해 용처가 정해진 이익
→ 법정적립금, 배당, 이월잉여금 등으로 나뉨
반응형
'재경관리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내부회계관리제도란? (1) | 2025.06.17 |
---|---|
💡내부감사 vs 내부회계관리제도 특징 비교 (1) | 2025.06.17 |
🔎회계감사 / 세무조정 / 내부회계관리제도 / 내부감사 의미 및 특징 비교 (2) | 2025.06.17 |
🌟 부가세대급금 vs 부가세예수금 (메출세액 - 매입세액) (1) | 2025.06.16 |
📮 초변동원가계산의 특성과 경영자가 어떤 행동을 하게 되는지(= 유인) (2) | 2025.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