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회계감사 / 세무조정 / 내부회계관리제도 / 내부감사 의미 및 특징 비교
✅ 핵심 개념 정리표
개념 | 주체 | 목적 | 키워드 | 시험포인트 |
회계감사 | 외부 감사인 (공인회계사) | 재무제표의 신뢰성 확보 | 외부검증, 감사보고서 | 상장회사 필수 |
세무조정 | 기업 (또는 세무사) | 세무상 과세표준 산정 | 회계 vs 세법 차이 조정 | 법인세신고 필수 |
내부회계관리제도 | 회사 내부 (경영진, 이사회 포함) | 재무제표의 신뢰성 확보를 위한 내부통제 시스템 | 지속적 실행, 설계·운영 | 상장회사 의무 |
내부감사 | 회사 내부 감사부서 (또는 감사위원회) | 내부 통제 및 업무감시 | 법적·윤리적 통제 | 대기업 내부통제 |
✅ 1. 회계감사
- 외부 감사인이 회사 재무제표가 신뢰할 수 있는지 검토
- 감사보고서 발행 → 투자자, 금융기관 등이 의사결정 시 사용
- 외부 독립성이 핵심
📌 예: 상장기업은 매년 외부감사인의 회계감사를 받아야 함
✅ 2. 세무조정
- 기업이 장부대로 법인세 계산하면 세법과 차이가 발생
- 이걸 조정하는 작업 = 세무조정
- 회계이익 → 과세소득으로 변환하는 과정
📌 예: 접대비는 회계상 비용이지만 세법상 일부만 인정 → 세무조정 필요
✅ 3. 내부회계관리제도
- 회사 내부에서 회계정보가 신뢰성 있게 생성되도록 설계된 시스템
- 회계 처리의 정확성 보장, 내부통제의 일환
- 이사회, 경영진, 실무자 모두 관여 → 지속적으로 작동해야 함
📌 예: 재무정보의 오류나 부정 방지
✅ 4. 내부감사
- 회사 내부 감사팀(또는 감사위원회)이 회사 업무를 감시
- 위법행위 방지, 업무 효율성 확보 목적
- 종종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도 함께 점검
📌 예: “회사 A는 회계부서와 인사부 업무의 적절성을 감사부서에서 점검했다”
✅ 마무리 비교
구분 | 내부/외부 | 목적 | 키워드 |
회계감사 | 외부 | 재무제표 검증 | 감사보고서 |
세무조정 | 내부 | 과세표준 조정 | 회계 vs 세법 차이 |
내부회계관리제도 | 내부 | 회계정보의 신뢰성 확보 | 내부통제, 지속적 운영 |
내부감사 | 내부 | 경영 전반 감시 | 위법 방지, 부서 점검 |
반응형
'재경관리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내부회계관리제도란? (1) | 2025.06.17 |
---|---|
💡내부감사 vs 내부회계관리제도 특징 비교 (1) | 2025.06.17 |
🌟 부가세대급금 vs 부가세예수금 (메출세액 - 매입세액) (1) | 2025.06.16 |
📮 초변동원가계산의 특성과 경영자가 어떤 행동을 하게 되는지(= 유인) (2) | 2025.05.09 |
💻 표준원가계산 총정리 (실제원가와 비교 / 한계 ) (2) | 2025.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