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경관리사

🔎회계감사 / 세무조정 / 내부회계관리제도 / 내부감사 의미 및 특징 비교

by 도 마 도 2025. 6. 17.
반응형

🔎회계감사 / 세무조정 / 내부회계관리제도 / 내부감사 의미 및 특징 비교

 

 

✅ 핵심 개념 정리표

개념 주체 목적 키워드 시험포인트
회계감사 외부 감사인 (공인회계사) 재무제표의 신뢰성 확보 외부검증, 감사보고서 상장회사 필수
세무조정 기업 (또는 세무사) 세무상 과세표준 산정 회계 vs 세법 차이 조정 법인세신고 필수
내부회계관리제도 회사 내부 (경영진, 이사회 포함) 재무제표의 신뢰성 확보를 위한 내부통제 시스템 지속적 실행, 설계·운영 상장회사 의무
내부감사 회사 내부 감사부서 (또는 감사위원회) 내부 통제 및 업무감시 법적·윤리적 통제 대기업 내부통제
 

 

✅ 1. 회계감사 

  • 외부 감사인이 회사 재무제표가 신뢰할 수 있는지 검토
  • 감사보고서 발행 → 투자자, 금융기관 등이 의사결정 시 사용
  • 외부 독립성이 핵심

📌 예: 상장기업은 매년 외부감사인의 회계감사를 받아야 함

 


 

✅ 2. 세무조정 

  • 기업이 장부대로 법인세 계산하면 세법과 차이가 발생
  • 이걸 조정하는 작업 = 세무조정
  • 회계이익 → 과세소득으로 변환하는 과정

📌 예: 접대비는 회계상 비용이지만 세법상 일부만 인정 → 세무조정 필요

 


 

✅ 3. 내부회계관리제도

  • 회사 내부에서 회계정보가 신뢰성 있게 생성되도록 설계된 시스템
  • 회계 처리의 정확성 보장, 내부통제의 일환
  • 이사회, 경영진, 실무자 모두 관여 → 지속적으로 작동해야 함

📌 예: 재무정보의 오류나 부정 방지

 


 

✅ 4. 내부감사

  • 회사 내부 감사팀(또는 감사위원회)이 회사 업무를 감시
  • 위법행위 방지, 업무 효율성 확보 목적
  • 종종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도 함께 점검

📌 예: “회사 A는 회계부서와 인사부 업무의 적절성을 감사부서에서 점검했다”

 


 

✅ 마무리 비교

 

구분 내부/외부 목적 키워드
회계감사 외부 재무제표 검증 감사보고서
세무조정 내부 과세표준 조정 회계 vs 세법 차이
내부회계관리제도 내부 회계정보의 신뢰성 확보 내부통제, 지속적 운영
내부감사 내부 경영 전반 감시 위법 방지, 부서 점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