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경관리사

🧔 종업원급여 회계 총정리

by 도 마 도 2025. 4. 19.
반응형

🧔 종업원급여 회계 총정리 

 

 

종업원급여는 회계에서 4가지 유형으로 구분돼.
각 유형마다 인식 시점, 측정 방법, 처리 방식이 다르니까 구분이 정말 중요해!

 


 

1. 🔹 단기종업원급여

1년 이내 지급되는 급여

  • 예) 월급, 상여금, 유급휴가, 국민건강보험, 복리후생비 등
  • 보험수리적 방법 ❌
  • 할인 ❌
  • 발생주의 적용 (근무한 시점에 비용 인식)
  • 지급하지 않은 급여는 ‘미지급비용, 예수금 등’으로 부채 처리

 


 

2. 🔹 퇴직급여 (종업원이 퇴직 시 받는 급여)

➡ 크게 확정기여제도확정급여제도로 나뉨

 

✅ (1) 확정기여제도 (Defined Contribution Plan)

  • 회사가 **정해진 금액(기여금)**만 내면 끝!
  • 퇴직 후 얼마 받을지는 직원 책임
  • 예: 국민연금, DC형 퇴직연금

 

📝 정리

  • 추가 불입의무 ❌
  • 매년 부담금만 비용 처리
  • 계산 단순함
  • 보험수리적 방법 ❌
  • 할인 ❌
  • 재측정요소 없음

 


 

(2) 확정급여제도 (Defined Benefit Plan)

  • 퇴직 시 지급할 금액이 미리 확정되어 있음
  • 미래 퇴직급여는 회사 책임

🧮 핵심 계산식

순확정급여부채(자산) = 퇴직급여채무의 현재가치 - 사외적립자산의 공정가치
 
 
 

🔸 퇴직급여채무의 현재가치(PV of DBO)
→ 종업원이 근무한 대가로 발생한 미래 퇴직급여의 현재가치
보험수리적 방법 사용
    + 현재가치로 할인

 

🔸 사외적립자산
→ 회사가 기여금을 납부하여 퇴직급여 지급을 위해 외부에 적립한 자산
공정가치로 측정

 

📝 정리

  • 추가 불입의무 있을 수도 있음
  • 보험수리적 방법 ⭕
  • 할인 ⭕
  • 재측정요소 ➡ 기타포괄손익(OCI)
  • 재분류조정 없음 (즉, 당기손익으로 절대 안 넘어감!)

 


 

3. 🔹 기타장기종업원급여

✔ 1년 초과 지급되지만 퇴직급여는 아님

  • 예: 장기근속수당, 장기병가, 장기유급휴가 등

📝 정리

  • 보험수리적 방법 ⭕
  • 할인 ⭕
  • 재측정요소 ➡ ❗당기손익 (확정급여와 구분 포인트!!)

 


 

4. 🔹 해고급여

✔ 조기퇴사, 구조조정 등 특별한 사유로 주는 급여

📝 정리

  • 조건 충족 시점에 전액 비용 인식
  • 보험수리적 방법 ❌
  • 할인 ❌

 


 

📊 비교 요약표

분류 예시 보험수리 할인 재측정요소 인식 방식 기타
단기종업원급여 월급, 상여, 유급휴가 발생주의 간단함
확정기여제도 국민연금, DC형 기여금만 비용 추가 불입 없음
확정급여제도 DB형 퇴직연금 ✅ OCI 순확정급여부채로 측정 추가 불입 가능, 사외적립자산 공정가치로 측정
기타장기종업원급여 장기근속수당 당기손익 복잡 확정급여와 재측정 구분 주의
해고급여 구조조정 보상 조건 충족 시점에 전액  

 


 

🔁 복습 퀴즈 (예시)

  1. 기타장기종업원급여의 재측정요소는 어디에 인식할까?
    → ✅ 당기손익
  2. 확정기여제도는 회사가 정해진 금액만 내면 되는데, 추가 불입 의무가 있을까?
    → ❌ 없음
  3. 확정급여제도의 사외적립자산은 어떤 가치로 측정할까?
    → ✅ 공정가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