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경관리사

🤑 수취채권, 계약자산, 계약부채

by 도 마 도 2025. 4. 17.
반응형

🤑 수취채권, 계약자산, 계약부채

 

 

✅ 1. 수취채권 (Receivables, 매출채권)

 

💡 의미:

회사가 상품이나 용역을 제공하고, 대금도 청구 완료된 상태!
고객이 지불만 하면 되는 상황이야.

 

🧾 특징:

  • 청구서 발송 완료
  • 고객에게 지급의무가 확정됨
  • 수익 인식도 완료됨

💬 예시:

고객에게 1,000만 원짜리 제품을 판매하고 계산서도 발행함. 아직 돈은 안 받음.
👉 이건 수취채권(매출채권)!

 


 

✅ 2. 계약자산 (Contract Assets)

 

💡 의미:

회사가 상품이나 용역을 일부 제공했지만, 아직 고객에게 청구할 권리는 없는 상태
수익은 인식했지만, 청구 조건이 아직 안 됨.

 

🧾 특징:

  • 수익 인식은 이미 함 (퍼포먼스는 이행됨)
  • 아직 청구 불가 (예: 검사 통과해야 청구 가능)
  • 고객의 추가 행동이 필요함

💬 예시:

건설업체가 건물 50% 지었고, 공정률에 따라 수익은 인식했지만, 고객이 승인한 이후에 청구 가능함
👉 이건 계약자산!

 


 

✅ 3. 계약부채 (Contract Liabilities)

 

💡 의미:

고객이 돈을 먼저 냈지만, 회사가 아직 상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은 상태
👉 고객 입장에서는 선지급한 상황이야.

 

🧾 특징:

  • 선수금, 선수수익과 비슷한 개념
  • 아직 수익 인식 조건을 충족 못했음
  • 나중에 이행하면 수익으로 전환됨

💬 예시:

고객이 공연 티켓을 미리 결제했지만, 공연은 아직 안 열림
👉 이건 계약부채!

 


 

📊 한눈에 비교 요약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