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경관리사

차입원가의 자본화란?

by 도 마 도 2025. 4. 15.
반응형

차입원가의 자본화란?

 

📌 간단히 말해

비용으로 처리하지 않고, 자산의 일부로 포함시키는 것!


✅ 예를 들어볼게!

회사 A가 건물을 짓기 위해 은행에서 돈을 빌렸다고 해봐.

  • 건설비용: 10억 원
  • 이자비용(차입원가): 5,000만 원

💭 이때 5,000만 원 이자비용을 어떻게 처리할까?

👉 일반적으로는 ‘이자비용’으로 처리하지만,

👉 이 건물이 적격자산이라면?

그 5,000만 원도 건물 원가에 포함시킨다! (→ 이게 자본화!)

즉,

구분처리방법
그냥 비용처리 손익계산서에 ‘이자비용’으로 들어감 → 당기손익에 영향
자본화 처리 자산(건물)의 원가에 포함 → 감가상각 통해 나중에 비용 처리됨

✅ 자본화의 목적은?

  • 보다 정확한 자산의 원가 계산
  • 기간별 수익과 비용의 일치 (matching principle)
  • 장기적으로 자산이 만들어지면서 발생한 비용은
    → 자산에 포함되어 감가상각을 통해 점진적으로 비용처리하는 게 더 합리적이기 때문이야!

✅ 요약!

항목설명
차입원가 자본화 건물·설비 같은 자산을 만들 때 드는 이자비용을 자산 원가에 포함시키는 것
왜 하는가? 자산의 실제 취득비용을 정확히 반영하기 위해
어떻게 처리되나? 자산 계정(건설중인자산 등)으로 회계처리되고, 이후 감가상각

✅ 분개 예시

자본화 하는 경우

(차) 건설중인자산 50,000 (대) 이자지급 50,000
 
 

비용 처리하는 경우

(차) 이자비용 50,000 (대) 이자지급 50,000
반응형